21대 대선 서울시 용산구 사전투표소 장소 찾기 | 대통령 선거

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번 대선 사전투표는 5월 29일(목), 5월 30일(금) 2일간 진행됩니다.

서울시 용산구 사전투표소 장소, 투표시간, 주의사항, 다른 지역에서 투표 가능한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본인이 사는 지역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투표할 수 있으니, 6월 3일에 시간이 안나는 분들은 사전투표기간에 꼭 투표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시 용산구 사전투표소

서울시 용산구 사전투표소

서울시 용산구 동별 사전투표소 장소입니다.

  • 후암동: 후암동주민센터(3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후암로 32-6 (후암동)
  • 용산2가동: 용산2가동주민센터(3층, 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신흥로 90 (용산동2가)
  • 남영동: 남영동주민센터(갈월종합사회복지관 2층, 소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두텁바위로 25 (갈월동)
  • 청파동: 청파동주민센터(2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9길 6 (청파동2가)
  • 원효로제1동: 원효로제1동주민센터(용산구문화체육센터 4층,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백범로 350 (문배동)
  • 원효로제2동: 용산문화원(3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8길 28 (원효로4가)
  • 효창동: 효창동주민센터(5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61 (효창동)
  • 용문동: 용문동주민센터(4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새창로12길 13 (도원동)
  • 한강로동: 한강로동주민센터(4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38길 28 (한강로2가)
  • 이촌제1동: 이촌제1동주민센터(용산청소년센터 3층, 꿈세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71길 24 (이촌동)
  • 이촌제2동: 이촌제2동주민센터(3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18길 20 (이촌동)
  • 이태원제1동: 용산구청(지하2층, 대회의실) 서울특별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150 (이태원동)
  • 이태원제2동: 이태원제2동주민센터(3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회나무로13길 58 (이태원동)
  • 한남동: 한남동주민센터(3층, 자치회관) 서울특별시 용산구 대사관로5길 1 (한남동)
  • 서빙고동: 서빙고동 주민센터(5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279 (서빙고동)
  • 보광동: 보광동주민센터(5층, 대강당) 서울특별시 용산구 장문로 95 (보광동)

종로구 사전투표소 위치 지도로 확인하려면 아래 투표소 약도보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 시간

제21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는 2025년 5월 29일(목) 부터 30일(금)까지 이틀간 진행됩니다.

사전 투표 시간오전 6시 ~ 오후 6시 까지입니다.

사전투표 절차 및 주의사항

  1. 신분증 지참: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해야 하며, 모바일 신분증(네이버 자격증, 카카오톡 지갑, PASS 등)은 앱 실행 과정을 보여주어야 하며 캡쳐 이미지는 불가.
  2. 본인 확인: 본인 확인기에 손도장 또는 서명을 하여 본인 확인.
  3. 투표용지 수령: 관내선거인은 투표용지를, 관외선거인은 투표용지와 회송용 봉투를 받음.
  4. 기표: 기표소에서 기표용구로 투표용지에 한 번만 기표. 연필이나 펜 사용 금지.
  5. 투표지 투입: 관내선거인은 투표용지를 접어서 관내투표함에, 관외선거인은 회송용 봉투에 넣어 밀봉 후 관외투표함에 투입.
  6. 주의사항: 투표소 내에서 사진 촬영 금지, 누구에게 투표했는지 말하면 안됩니다.

다른 동네에서 사전투표 할 수 있나?

네, 다른 동네(즉, 본인 주소지와 다른 지역)에서도 사전투표가 가능합니다.
사전투표는 전국 어디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서도 별도의 신고 없이 투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인 주소지와 상관없이 방문한 사전투표소에서 투표 절차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관내선거인과 관외선거인에 따라 투표 절차가 다릅니다.

  • 관내선거인: 본인 주소지와 같은 구·시·군(즉, 관할 선거관리위원회 구역 내)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하는 경우, 투표용지만 받아 기표 후 관내투표함에 넣으면 됩니다.
  • 관외선거인: 본인 주소지와 다른 구·시·군(관할 구역 밖) 사전투표소에서 투표하는 경우, 투표용지와 함께 회송용 봉투를 받아 기표 후, 투표용지를 봉투에 넣어 밀봉한 뒤 관외투표함에 투입해야 합니다.

즉, 다른 동네(관외)에서도 사전투표가 가능하며, 별도의 신고 없이 전국 어디서나 사전투표소를 방문해 투표할 수 있습니다.

용산구 사전투표소